삼 년은 너무 길다
- 삼년지상三年之喪
삼 년은 소멸과 생성에 가장 적합한 기간이다.
재아가 공자님께 묻기를 “삼 년의 복상은 기한이 너무 오래입니다. 군자가 삼 년이나 예를 지키지 못하면 반드시 예가 무너지고, 삼 년이나 음악을 익히지 않으면 음악이 반드시 시들 것입니다. 그러니 이미 묵은 곡식이 없어지고 새 곡식이 상에 올라오고, 또 불씨를 일으키는 수나무를 바꾸어 새로 뚫어 불씨를 피우는 것처럼, 복상도 일 년으로 끝내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宰我 問三年之喪이 期已久矣로소이다 君子三年ᄋᆞᆯ 不爲禮면 禮必壞ᄒᆞ고 三年ᄋᆞᆯ 不爲樂이면 樂必崩ᄒᆞ리니 舊穀이 旣沒ᄒᆞ고 新穀이 旣升ᄒᆞ며 鑽燧改火ᄒᆞ노니 期可已矣로소이다 子曰 食夫稻ᄒᆞ며 衣夫錦이 於女安乎아 曰安ᄒᆞ이다 女安則爲之ᄒᆞ라 夫君子之居喪애 食旨不甘ᄒᆞ며 聞樂不樂ᄒᆞ며 居處不安이라 故로 不爲也ᄒᆞ노니 今女安則爲之ᄒᆞ라 宰我出커ᄂᆞᆯ 子曰 予之不仁也여 子生三年然後에 免於父母之懷ᄒᆞᄂᆞ니 夫三年之喪ᄋᆞᆫ 天下之通喪也니 予也 有三年之愛於其父母乎아 - 陽貨
공자께서는 “부모님이 살아계시면 어른의 뜻을 살펴 따라야 하고, 이미 돌아가셨으면 생존 시의 행적을 살펴 본으로 삼아야 한다. 삼 년간을 두고 선친의 도를 고치지 않아야 가히 효라고 말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예 또 재아가 질문을 던졌다.
공자께서 되물으신다.
그래 재아야, 그렇게 일 년으로 거상을 마치고 흰쌀밥을 먹고, 비단옷을 입으면 네 마음이 편하겠느냐? “예, 편할 것입니다.” 대답하자 “네 마음이 편하거든 그렇게 해라.” 원래 군자는 상중喪中에 있을 때는 맛있는 음식을 먹어도 달지 않고, 음악을 들어도 즐겁지 않으며, 안락하게 있어도 편하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마음이 편하다면 그렇게 하라신다. 재아가 나가자, “재아는 참으로 어질지 못하구나. 자식이 태어나 삼 년이 되어야 비로소 부모의 품에서 벗어나듯이, 부모의 상을 삼 년 모시는 것은 천하의 공통된 예법이거늘…. 재아도 부모로부터 삼 년 동안 사랑을 받았을 터인데…” 안타까워하신다.
부모님의 뜻은 물론이요, 생전에 쓰시던 책을 차마 읽지 못함은 아버님의 손때가 책 속에 배였기 때문이며, 쓰시던 그릇에도 어머님의 입김이 서려 있기 때문에 차마 사용하지 못한다. 부모님께서 귀히 여기던 친인척과 기르던 누렁이도 함부로 하지 않는 것이 도리이다.
삼 년으로 회자하는 이야기 중에 ‘장생도라지’가 있다.
시어머님과 나는 오로지 꽃이 예뻐서 텃밭에 도라지를 심었다. 인삼은 6년 근이 최고라는데 도라지도 뿌리인지라 명품도라지를 기대했다. 육 년은커녕 삼 년이 지나니 밑동이 썩어 싹도 나지 않았다. 도라지는 땅속에서 크는 기간이 삼 년이라 한다. 삼 년씩 일곱 번을 옮겨 심어야 효능이 탁월한 21년산 장생 도라지가 된다.
삼 년은 사랑의 시효다.
삼 년을 낭군님을 사랑하다가 큰아이, 작은아이를 본다. 어미젖을 먹는 아이는 삼 년 터울이 자연스럽다. 그다음 시부모님도 공경으로 번갈아 수발한다. 사위도 사랑하고 며느리도 사랑하고 손자들도 사랑하다 보면 식견은 더 깊어지고 취미도 깊어진다. 삼라만상 온 인류를 다 사랑하게 된다.
엄마는 아이의 거울이다.
아기는 배태 시기부터 3년 동안 제 얼굴을 모른다고 한다. 어미 얼굴이 제 얼굴인 줄 알고 엄마가 웃으면 따라 웃고 엄마가 울면 따라 운다. 아이가 태어나 세 살이 되기까지 스스로 똥오줌을 가리고 숟가락을 사용하여 밥 먹고, 기고, 앉고, 서고, 혼자 신을 신고 제 발로 걷기까지 진자리 마른자리 손발이 다 닳도록 부모는 보살핀다.
예전에는 백일 즈음, 정수리 부근의 황새 머리카락을 잘 보관했다가 남자는 관례 여자는 계례〔성인식〕 때 갓이나 쪽 비녀 옆에 장식하여 꽂았다. 늘 낳아주신 은혜를 생각하다가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삼 년 탈상脫喪때 태워버렸다. 어르신들 중절모에 꿩 털 장식은 본래 자신의 배냇머리 털로 장식했다. 멋이 아니라, 아직 부모님이 생존에 계시다는 복식의례다. 자식의 도리를 잘하면 장년에 이르러 눈썹 속에 긴 털이 몇 가닥 휘날리는데, 이를 황구黃耈라 한다. 황구가 나오면 장수할 조짐이라 하니 예술가처럼 관리하면 어떨까.
삼년지상三年之喪은 천지분간을 못 하던 시절의 부모님 보살핌을 복상으로 갚는 것이다.
그 절차는 임종부터 – 수시 - 고복(초혼) - 발상(초상발표) - 준 - 습(수의는 가시는 길 맺힘이 없도록 실의 매듭이 없게) - 소렴(옷과 이불로 쌈) - 대렴(입관) - 성복(문상객 받음) - 치장 - 천구 - 발인(장지로 떠남) - 운구 - 하관 - 성분 - 반곡 - 초우 - 재우 - 삼우 - 졸곡(3개월) - 소상小祥 (만 1년이 되는 날), 13개월 연복을 빨아서 입고 수질과 요질을 벗는다. 나물 과일 붉은 생선 먹음 – 대상大祥 (만 2년이 되는 날), 25개월 만에 젓갈 간장 포 먹음 - 신주 사당으로 옮김 - 대상 후 초상 27개월이 지나면 술 식혜 말린 고기를 먹는다. 마음이 차츰차츰 담담해질 즈음, 담제를 지내고 끝으로 며느리가 활옷을 입고 곳간 열쇠를 받게 되는 길제吉祭를 지냄으로써 삼 년의 복상 소임이 끝난다. 그러나 부모님의 상례는 삼 년보다 더 길어도 한이 없다고 했다.
춘추전국시대에도 공자 문하에서 삼년을 배우면, 녹을 바라지 아니하는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공자께서도 나를 일 년만 써 줘도 법령과 제도를 고치고 삼 년이면 완성하여 성과를 보여주겠다고 하셨다. 삼 년은 생성의 기초를 닦는 기간이다. 그렇다고 삼 년이면 자녀교육이 끝나는 것도 아니다. 골수에 사무치고 무젖는 세대교체 즉 이립而立의 서른 살이 되어야 겨우 취직도 하고 결혼도 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사람 구실을 한다. 자자손손 대를 잇는 육아정책이 휴대전화기 약정기간만큼도 되지 않는다. 국민을 낳고 기르는 소중한 ‘워킹맘’들의 육아휴직을 6개월, 12개월, 15개월로 한정하니, 어찌 우리 아이들에게 부모의 은혜를 알라고 강요할까.
* 류창희 : 메타논어, 타타타 메타. 내비아씨의 프로방스. 논어에세이 빈빈. 매실의 초례청.
'<메타논어> 타타타, 메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을 쓰다 (0) | 2019.12.27 |
---|---|
전 삼일, 후 삼일 (0) | 2019.12.27 |
밤나무를 심는 까닭 (0) | 2019.12.27 |
오캄 (0) | 2019.12.27 |
솔직하게 (0) | 2019.12.27 |